전세 계약 기간이 다가왔다면 무조건 읽어야 할 필수 정보! 계약 갱신 청구권을 잘못 쓰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. 2년 연장 시점부터 보증금 인상 기준, 계약서 작성, 보증금 보호 팁까지 반드시 알아두세요. 임차인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가장 실용적인 정리글입니다.

전세 계약 갱신, 2년 더 살 수 있는 권리가 생긴다?

전세 계약은 기본적으로 2년간의 계약 기간을 보장받습니다.

2020년 7월부터 도입된 계약갱신청구권제 덕분에 임차인은 한 번 더 2년 연장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었죠.

즉,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최대 4년까지 동일한 조건으로 거주 가능합니다.

 

갱신 절차는 이렇습니다.

  • 계약 만료 6개월 전~2개월 전 사이가 핵심 타이밍
  • 이 시점에 임대인에게 “계약 연장하겠다”는 의사 표시 필수
  • 반드시 문자, 카카오톡 등 기록이 남는 방식으로 전달해야 법적 효력 발생

임대인은 실거주, 임차인의 계약 위반 등 법에서 정한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거절할 수 있습니다.

반대로 사유 없이 거절하거나, 보증금을 무리하게 올리면 임차인이 거부 및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.

전세 연장 절차, 이 순서대로 하면 문제없습니다

전세 연장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.

① 묵시적 갱신: 계약 만료 2개월 전까지 임대인/임차인 아무런 의사 표시가 없을 때, 자동으로 2년 연장됩니다. 단, 이 경우 조건은 변경 불가이며 보증금 인상도 어렵습니다.

 

② 계약 갱신 청구권 행사: 임차인이 6개월~2개월 사이 명확히 의사 표시하면, 임대인은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 불가. 이때 보증금 인상은 5% 이내만 허용되며, 새로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
 

 

주의할 점

  • 계약서 다시 쓰는 경우 확정일자 반드시 재등록
  • 보증금 변경 시 전세보증보험도 갱신 필수
  • 연장 후 전세 대출도 재심사 필요할 수 있음

전세 계약서 작성과 확정일자, 이것만은 꼭!

계약을 연장하면서 조건이 바뀌면 반드시 새 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.

그리고 확정일자 등록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.

 

📌 체크리스트

  • 계약 기간, 보증금, 특약 등 변경된 내용 모두 명시
  • 임대인·임차인 서명 필수
  • 동일한 주소지로 다시 전입신고 필요
  • 새 계약서에 대해 확정일자 다시 받기 (주민센터 or 등기소)

 

확정일자가 없다면, 추후 집이 경매나 압류에 넘어갈 경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도 있습니다.

보증금이 억대일수록 확정일자와 보증보험은 생명줄입니다.

전세 보증금 반환보증보험, 연장해야 내 돈 지킨다

전세 계약을 연장하면서 간과하기 쉬운 것이 바로 전세보증보험 갱신입니다.

이 보증보험은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 경우, 기관이 대신 지급해 주는 제도로 임차인 보호의 핵심입니다.

 

📌 연장 방법

  • 기존 가입기관(HF, HUG, SGI 등) 통해 연장 신청
  • 새 계약서 사본, 확정일자 확인서류 등 제출
  • 심사 후 갱신 승인 → 새 보증서 발급

만약 보증보험을 연장하지 않고 계약만 연장했다면?

 

집주인이 보증금을 못 돌려줘도 보험이 대신 지급되지 않으니 엄청난 손해로 이어집니다.

계약 연장과 동시에 보증보험도 반드시 갱신!

마무리 체크리스트

  • 계약 만료일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 사이 갱신 의사 전달
  • 문자 또는 서면으로 기록 남기기
  • 갱신 시 보증금 인상은 5% 이내
  • 새로운 계약서 작성 후 확정일자 등록
  • 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갱신 신청
  • 연장과 함께 전세 대출 여부도 재확인

전세 계약 연장은 단순히 ‘더 사는 것’이 아닙니다.

법적 권리, 보증금 보호, 금융계획까지 모두 연결된 중요한 선택입니다.

꼼꼼하게 준비하셔서 걱정 없는 2년 더 보내시길 바랍니다.

2025.04.04 - [분류 전체보기] -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하면 받을 수 있는 돈은 얼마일까? 조건별 정리!

 

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하면 받을 수 있는 돈은 얼마일까? 조건별 정리!

해지규정 확인하기   해지 불이익 확인하기   은행별 해지방법 매달 꼬박꼬박 넣고 있던 청년도약계좌, 중간에 해지하면 어떻게 될까요?정부지원금은 받을 수 있을지, 불이익은 얼마나 되는

job1.hanakamina.com

2025.04.04 - [분류 전체보기] - 서울 청년 월세 10만 원대? SH 청년 매입임대 조건 안 보면 후회합니다!

 

서울 청년 월세 10만원대? SH 청년 매입임대 조건 안 보면 후회합니다!

서울에서 혼자 사는 청년이라면 놓치면 안 될 기회!월세 10만원대, 최대 6년 거주 가능한 ‘SH 청년 매입임대주택’.지금 조건과 신청법을 정확히 알아두지 않으면 나중에 땅을 치고 후회할 수 있

job1.hanakamina.com

2025.04.03 - [분류 전체보기] - 중소기업·소상공인 등록부터 지원신청까지! 확인서 발급방법 총정리

 

중소기업·소상공인 등록부터 지원신청까지! 확인서 발급방법 총정리

📢 중소기업 신청했는데 확인서 없다고 반려됐다구요?정부 지원금·정책자금·공공입찰… 그 시작은 중소기업확인서·소상공인확인서입니다.2025년 기준, 신청부터 발급까지 완전 정리했으니

job1.hanakamina.com